반야심경은 사실 600권이다.
불자이긴 하지만, 불교에 대해 깊이 공부하지 않았다. 스님이 될것도 아니고, 믿음만 있으면 되지 않나? 싶어 공부는 하지 않았고 그러다 어느순간 믿음이 깨져 사라져 버렸고 인생이 잘 풀리지 않고, 꼬이기 시작했다. 이 종교 저 종교, 미신, 운세 따위 기웃거려 봤지만 기도한다고 이루어지는것도 아니고 깨달음을 얻을 수 있는것도 아니었다. 불교의 경전은 종류가 많은데 대중에게 잘 알려진건 반야심경이다. 반야심경은 260자로 짧아, 외우는 사람도 많다. 그런데, 반야심경은 사실 600권이나 되는 책 모음이다. 원래 이름은 대반야바라밀다경(大般若波羅蜜多經) 이다. 중국 당나라 시절 손오공 서유기의 삼장법사(三藏法師)로 잘 알려진 헌장(玄奘, 602~664)이 인도로 직접 가서 구해온것이라 한다. 그 방대한 서적을 260자로 함축해놓은것이 반야심경이다. 마하반야바라밀다심경.... 요즘은 불교 원조 성지의 원어로 들을 수도 있다. 유튜브에서 Prajñāpāramitā Hṛdaya Sutra 검색하면 나온다. 한국 : 클래식한 느낌이 상당히 좋다. 한국 큰 사찰 느낌이랄까? 원곡 : 아제아제 바라아제...를 원어로 들으니 (근데 댓글에 산크리스트 원어가 아닌, 흉내내기라는 인도인 댓글이 있는걸로 봐선 중국에서 만든것) 일본 : 한국에서 넘어간 불교라 그런가... 1500년전 한국 불교가 저랬을까? 라는 느낌 중국 : 불교를 정립한 국가라 그런가... 가수가 부른곡도 있고, 600권 강의 동영상도 있다; 중국 반야심경 般若波羅蜜多心經 - 黃思婷(황사정) 중국은 대놓고 불교 관련 드라마나 영화, 음악이 상당히 많이 있다. 일본은 중국보단 못하지만, 국민의 90%가 신교이면서 불교이다. 한국은 조선시대 때 부터 숭유억불정책과 6.25 이후 기독교가 득세하여, 전통 불교는 산으로 산으로... 불교 관련 문화는 대부분 사라져 없다.고 봐야한다. 600권 반야심경 한글 번역본 h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