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월, 2019의 게시물 표시

라즈베리파이 켜고 끄기 명령어 모음

#halt , shutdown, reboot, init #명령어 옵션을 보고 싶다면 명령어 끝에 --help #바로끄기 sudo halt #강제종료 sudo halt -f #재부팅 sudo halt --reboot #바로끄기 sudo shutdown -h now #재부팅 sudo shutdown -r now #10분뒤에 끄기 sudo shutdown -h +10 #정해진시간에 끄기 sudo shutdown -h 23:00 #5분뒤에 재부팅 sudo shutdown -r +5 #정해진시간에 재부팅 sudo shutdown -h 12:15 #예약취소 sudo shutdown -c #재부팅 sudo reboot #강제재부팅 sudo reboot -f #끄기 init 0 #재부팅 init 6

라즈베리파이 온습도(온도+습도) 측정 (센서:DHT11)

이미지
VCC 전원 , DATA 데이터, GND 그라운드를 라즈베리파이에 연결하고 라즈베리파이를 업데이트를 해준다. sudo apt-get update sudo apt-get install build-essential python-dev 그리고 git clone https://github.com/adafruit/Adafruit_Python_DHT.git cd Adafruit_Python_DHT sudo python setup.py install Adafruit 에서 제공하는 소스를 github 에서 받아 설치한다. 설치가 완료되면, 경로로 이동해 프로그램을 실행한다. cd Adafruit_Python_DHT cd examples sudo ./AdafruitDHT.py 11 2 온습도 센서가 DHT11 이라면 11 DHT22 인경우 22 라고 적어준다. 그리고 11 뒤에 숫자 2 는 GPIO 포트이다. DHT11 센서는 습도 오차가 굉장히 큰편이다. +-5% 라고 하는데 10% 는 넘는듯.. DHT22 센서는 온습도 오차가 작은대신 2초마다 한번씩 데이터를 받을 수 있다.

라즈베리파이 파이참 연결해 개발하는 방법

이미지
파이썬 전용 IDE 파이참을 설치하고 Create New Project 를 한다. interpreter 에서 [ ... ] 을 누르고 SSH 를 선택하면 원격지 접속 아이피와 아이디,비밀번호를 입력할 수 있다. Remote Project Location 폴더를  /home/pi/프로젝트 로 하면 쉘터미널에서 cd 프로젝트 폴더로  바로 갈 수 있어 편하다. 파이썬으로 코딩한것을 배포하는것은 Tools > Deployment > Upload to sftp ... 아이피 변경이나 폴더 변경은 Tools > Deployment > Configuration 에서 하면 된다.

라즈베리파이 온도측정 (센서:DS18B20)

이미지
특징 작동 공급전류 : 1.5mA 최소 공급전압 : 3V 최대 공급전압 : 5.5V 최저 작동온도 : -55 최고 작동온도 : +125 정확도 : +/- 0.5 자세한 스펙 :  https://datasheets.maximintegrated.com/en/ds/DS18B20.pdf 라즈베리파이에 DS18B20 온도센서가 장착된 위와 같은 형태의 모듈을 연결하기 위해서는 브레드보드, 와이어가 필요하다. 물론 DS18B20 센서만 구입하여 위 그림처럼, 빵판에 센서와 저항을 연결해도 된다. 저항은 5Kohm ~ 10Kohm 이 필요하다. 위 모듈에 세가지 핀이 보이는데,    |            |             | GND   VCC(+5V)   GPIO#4 제일 왼쪽부터 접지,전압,데이터이다. 라즈베리파이에 온도센서를 장착했다면, 터미널에서 다음과 같이 입력하여 실행한다. 이렇게 하는건, 라즈베리파이와 단선통신(one wire communication)을 하기 위함이다. sudo modprobe w1-gpio sudo modprobe w1_therm 그 다음, 나노편집기 등을 이용해 boot/config.txt 를 열고 다음 명령을 추가해 저장한다. sudo nano /boot/config.txt dtoverlay = w1-gpio config.txt 맨 아래 위 항목을 추가 해주고 Ctrl-X 하여 파일을 저장한다. 더 자세한 사항을 알고 싶다면 여기를 참조  https://pinout.xyz/pinout/1_wire 그리고, 라즈베리파이를 재부팅 해준다. sudo reboot 다시 쉘 터미널을 열어 다음과 같은 명령어를 입력하여 실행한다. ls -l /sys/bus/w1/devic...

윈도우에서 라즈베리파이 원격접속

이미지
먼저 라즈베리파이에서 아래와 같이 설치를 해줘야 한다. sudo apt-get update sudo apt-get install xrdp 라즈베리 파이에 Putty 로 SSH 접속을 하고 싶다면 기본설정 > Rasberry Pi Configuration > interfaces > SSH 를 Enabled 하면 된다. 윈도우에서 mstsc 원격접속으로 라즈베리파이의 아이피로 접속 (내부에 있다면 192.168.0.1 에서 파이에 할당된 ip를 확인) 아래는 기본 초기값이다. 아이디 : pi 비밀번호 : raspberry 라즈비안 설치시 비밀번호를 바꿨다면 바꾼 비밀번호로 접속하면 된다. 주의 : 원격데스크톱이 실행됐을때 마우스로 창을 이리저리 옮기면 키보드 작동이 안하는 버그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