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 가 아닌 https:// 로 접속을 하기 위해서 SSL 인증서가 필요한데, 유료다. 보안을 위해서는 반드시 필요하다. http:// 로 접속을 하고, 로그인을 한다면 3G LTE 5G 와이파이가 넘쳐나는 현시대에 무선 인터넷으로 넘나드는 아이디와 비번을 가로채이는건 쉬운일이다. https:// 로 접속을 하고, 로그인을 하면 아이디와 비번 등 주고받는 데이터들을 암호화해서 전송하고 받는다. 쇼핑몰이나 개인정보를 받는 사이트에는 반드시 있어야 하며, SSL 인증서가 없다면, 벌금이 1000만원인데 벌금보다 배상이 더 큰 위험이다. Symantec 의 VeriSign 이 유명하긴 한데, Comodo 가 점유율이 더 높다. https://ssl.comodo.com/ 한비로에서 파는 코모도는 비싸진 않은데 https://www.comodossl.co.kr/ 싼것은 1년에 3만원인데, 배상금이 1만 달러(1000만원) 이고 비싼건 1년에 77만원인데, 배상금이 175만 달러(17억5천만원)이다. 왠만하면 유료 쓰면 좋은데 3만원도 아까운 경우가 있다. 어떤 경우냐 하면 내컴퓨터에 테스트를 위해 잠시 쓸건데, 3만원을 지불하는건 좀 거시기 하지않은가! 그 대안은 OpenSSL 이다. OpenSSL 이란? 무료로 SSL 을 사용할 수 있는 거시다. 설치 방법과 그런게 좀 복잡한데, 계속해서 설명해 다루겠다. 그런데, 아무래도 OPEN ssl 이라 보안위험도 있고 2014년에 심각한 버그도 있었어서, OpenSSL 을 쓴다면 항상 IT 보안 뉴스에 관심을 기울이며 수시로 업데이트를 해줘야 하겠다. 문제는.. OpenSSL 설치부터 어렵다는 것이다. 이래서 대부분의 사람들이 무료 리눅스를 안쓰고 유료 윈도우를 쓰는것이다. 1. OpenSSL 에 접속한다. https://www.openssl.org/ DOWNLOAD 에서 tar.gz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