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퓨터로 일본어를 입력하려면 일본어 키보드를 쓰면 편하겠지만, 자판배열을 외워야하는 단점이 있다. MS IME 를 사용하면, 간단히 발음 나는대로 영어로 입력을 하면, 일본어 입력을 할 수 있다. ~을 / ~를 에 해당하는 조사 を를 입력하는 방법이 어려운데 영어 o 는 お 가 입력된다. を 는 영어 w 와 o 를 순서대로 누르면 입력된다. w + o
전자제품 이야기를 할때 2000W 출력, 1000W 출력처럼 W 와트를 많이 말한다. 무조건 높으면 좋다고 생각하는 사람도 있는데 높으면 전기요금이 많이 나온다. W 와트는 전력이다. 전기의 力(힘) 이란 뜻이다. 전력을 구하는 공식은 다음과 같다. 전력 (W) = 전압 (V) x 전류 (A) 와트 = 볼트 x 암페아 전압은 전기의 押(압력) 이란 뜻으로 전극 + - 의 차이에서 생기는 압력을 말한다. 쉽게 이해하려면, 수압을 생각하면 된다. 전류는 전기의 流(흐름) 이란 뜻이다. 1000W 를 소비하는 제품이 있다면 100V 의 전압을 쓰는 곳에서는 10A 의 전류가 필요하지만 200V 의 전압을 쓰는 곳에서는 5A 의 전류만 필요하다. 한국은 220V 를 많이 쓴다. 아니 이젠 공식적인 전압이다. 옛날에는 한국도 110V 볼트를 썼었다. 그리고 110V와 220V 겸용으로 쓰던 시기도 있었다. 그때까지만 해도 110V 일본 가전제품이 인기를 끌었다. (대표적인것이 조지루시 전기압력밥솥) 하지만, 언젠가부터 고맙게도 가정마다 220V 로 무상교체를 해주기 시작했다. 이후 한국에서 일본 가전제품은 사라졌다. 해외 전자제품을 수입해서 비싸게 판매하던 악덕 수입 무역업자들은 망했고 대신, 국가의 정책 하나만으로 내수경기가 살아 대기업이 탄생했다. 박정희 대통령 시절 전국에 전기망을 깔아야 했지만, 전기가 턱없이 부족했다고 한다. (지금도 많이 부족한지? 기업용 전기는 싸지만, 가정용 전기는 비싸다) 그때는 전국에 깔릴 송전선,배전선 비용 절감이, 국민의 생명 안전보다 중요 했기 때문에 안전한 110V 대신 고효율의 위험한 220V 를 선택했다는..ㄷㄷ 110V 가 좋은지 220V 가 좋은지? 잘 모르겠다만 전압은 쉽게 변경이 가능하므로 그리 중요한 문제는 아니다. 문제는 주파수이다. 주파수는 Hz 헤르쯔라고 하는데 60Hz 는 1초에 60번 + - 를...
애플 아이폰 가격 빼고 다 좋은데, 호환이 ㄱㅈ 같다. 5기가 클라우드가 꽉 차가서 윈도우 PC로 백업을 받으려고 아이폰을 컴퓨터와 연결했다. 그런데.. 총 5대밖에 안되는 PC 인증까지하고 로그인하고 아이튠즈 설치하고 다 해봐도 사진이 없다. 분명히 아이폰엔 사진이 있는데, 안나온다.. Apple iPhone 마우스 우클릭해서, 사진 및 비디오 가져오기 하면 된다는데.. ㅇㄹ 검색해 보니 아이폰 설정 > 일반 > 재설정 > 위치 및 개인 정보 보호 재설정 하면 된다는데 ? 안된다. 또 검색해보니, 윈도우 장치관리자에서 APPLE MOBILE DEVICE USB 삭제하고 드라이브 재설치 하면 된다고 하는데 ? 안된다고 ! USB 케이블 문제라는 글도 있고, 아주 그냥, 블로그 허위정보글이 넘친다. ㄱㅍ 이다. 돈 벌려고 유튜브 난립한 한국인같네~ 8핀 케이블 연결한 상태에서 찍은 사진은 ? 잘 나온다. DCIM 폴더에 사진이 생겼다. 뭐가 문젤까? 아이폰에서 옛날 사진 볼때마다, 돌아가는 시계모양이 수상했다. 혹시 ? 사진이 폰에 없는건가 ? 그래서 아이클라우드를 꺼보기로 했다. 그런데, 안꺼진다. 당황해서 캡쳐를 못했지만, 사진을 받겠냐는 빨간글씨도 나왔지만, 사진을 받기는 커녕 '니 사진 폰에서 제거' 경고문구만 계속 뜬다... 무적권 애플 아이클라우드 돈내고 쓰란건가 ? 거 얼마나 하겠어, 클라우드 업그레이드 해볼까 ? 하고 가격을 봤는데.. 50기가 월 1100원 x 12개월 = 1년에 13,200원 200기가 월 3300원 x 12개월 = 1년에 39,600원 2테라 월 11100원x 12개월 = 1년에 133,200원 ㅅㅂ... 돈 그것도 없냐 ? 하겠지만, 눼~ 눼~ 돈 많으시면 좀 주시던가요. 블로그 검색...
댓글
댓글 쓰기